본문 바로가기
세상

[경제] 내수침체, 물가 21년만에 최저…D의 공포 대비해야 하는가?

728x90
SMALL

디플레이션의 공포가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디플레이션 보다 인플레이션이 더 좋다는 말이 있어요.

 

디플레이션

물가가 떨어지고 경제 활동이 침체되는 현상. 통화량이 상품 거래량보다 상대적으로 적어서 물가가 떨어지고 경제 활동이 침체되는 현상이다. 전에는 디플레이션이 인플레이션에 대응되는 말

100.daum.net

* 물가가 떨어지고 경제 활동이 침체되는 현상.

일단 소비가 줄게 되니, 공급과 수요의 법칙에 의해서 물가는 떨어지게 됩니다. 
소비심리가 회복되면 우려는 없어지겠지만, 
코로나로 인해 급격히 식어버린 경기는 금방 회복 될 것 같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전세계가 겪고 있는 어려움이기 때문입니다. 
국지적으로 일어나는 것이라면, 대응이 되겠지만 전방위적으로 일어나는 이슈가 금방 해결될 것 같지 않습니다. 

경기가 식으니, 기름 소비량이 줄게되어 유가는 떨어집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외식을 줄이게 되고, 
외부활동이 줄게 되니, 서비스형 산업의 타격이 매우 큽니다. 
오히려 인프라 산업(전력, 도로, 통신 등)을 그럭저럭하지만, 이것 또한 산업계가 장기간 불황이면 어려움을 겪게 되어 있습니다.

개인이 D공포를 대비한다는 것이 어불성설입니다. 
안전 자신을 확보하는 것인데, 이미 마이너스 통장인데 무엇을 대비해야 하나요?
IMF때는 무리하게 부채를 쓴 기업과 개인이 고생을 했지만, 
09년 금융위기등을 겪으면서 대출이 보편화된 현 시점에서의 
충격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외부의 자극이 크면 클 수록
개인들은 지갑을 더 꽁꽁 잠금게 됩니다. 

 

원문바로가기

4월 소비자물가가 다시 0%대로 내려앉았다.
지난해 연중 0%대를 기록하다 1%대를 회복한 지 4개월 만이다.
내수 경기의 '체온계'로 불리는 근원물가는 21년 만에 최저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산업 수요가 감소하면서 국제 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고, '사회적 거리 두기' 여파로 외식 수요가 감소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저성장에 저물가가 겹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도 다시 고개를 들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실물경제 침체와 실업 등 본격적인 충격은 이제 시작"이라고 말했다.


외식자제·저유가에…소비자물가 0.1%


4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소비자 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104.95를 기록해 전년 동월보다 0.1% 오르는 데 그쳤다. 정책 당국이 정한 적정 물가 상승률(약 2%)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월별로는 작년 6월(0%) 이후 최저다.

소비자 물가가 이처럼 내려앉은 것은 코로나19의 영향이다. 전 세계 주요 공장이 '셧다운' 된 여파로 원유 수요가 줄었고, 이에 경유(-11.8%), 휘발유(-5.1%) 등 석유류 가격이 6.7% 급락했다. 또 외출 자제 등으로 서비스 물가도 0.2% 오르는 데 그쳤다. 특히 외식물가 상승률이 0.8%로 둔화했다. 전월 대비 외식 물가 상승 폭이 4개월 연속 0%대에 머무른 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MERS)이 발생한 2012년 5월~2013년 2월 이후 처음이다.

곳곳 소비부진…농·축·수산물만 올라

코로나19로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은 영향은 세부 품목 곳곳에서 드러났다. 감염 우려에 여행 등 이동을 자제하다 보니 해외단체여행비와 승용차임차료(렌터카) 물가가 각각 1년 전 같은 달보다 10.1%와 16% 내렸다. 오락 및 문화 물가도 2.5% 하락했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코로나19로 소비 패턴이 변한 게 물가에 영향을 미쳤다"며 "무상교육으로 공공서비스 물가가 하락한 점도 낮은 물가 상승률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고등학교 납입금(-64%)을 포함한 공공서비스 물가는 전년 같은 달 대비 1.6% 하락했다.

반면 외출을 자제하고 집 안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농·축·수산물 물가는 1.8% 올랐다. 외식보다는 집밥을 선호하게 되면서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배추(91.4%), 양파(39.6%) 등 채소류가 10.3%나 뛰었고, 쇠고기(5.4%), 돼지고기(2.6%), 달걀(12.3%) 등 축산물도 3.5% 올랐다. 수산물 가격도 전년 동월보다 8.1%나 뛰었다. 저물가 상태인데도 소비자들이 생활에서 쉽게 체감하는 식료품 물가는 높았다는 의미다.

한은 "한국 저물가는 사재기 없는 탓"

식료품과 에너지 등 일시적 변동 폭이 큰 품목을 제외하고 집계하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105.65로 0.3% 올랐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지난해 8월부터 9개월 연속 0%대를 기록 중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에 따른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더 심각하다. 4월 들어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한 독일(0.8%), 프랑스(0.5%) 보다 낮은 0.1% 상승률을 보였다. IMF 외환위기 여파가 남아있던 1999년 12월(0.1%) 이후 20년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역대 최저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던 지난해에도 근원물가는 0.7% 상승했다.

이와 관련 한국은행은 "주요국의 경우도 국제유가 급락, 서비스물가 둔화 등 영향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크게 하락했다"며 "다만 한국의 경우 생필품 사재기와 공급망 차질이 크지 않아 물가상승률이 더 둔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고교 무상교육과 소비 촉진을 위한 자동차 개별소비세 70% 인하 등 공급 정책 의해 물가가 떨어졌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기재부 "경제 즉각 반등 어려워"

앞으로도 저물가가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 수요 부족으로 상품·서비스값이 하락하면 기업은 재고가 쌓일 것을 염려해 생산을 줄이고, 소비자는 물가가 더 떨어질 것으로 보고 소비를 미루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난해 0%대 저물가를 기록했기 때문에 기저효과로 올해는 물가가 오를 만도 한데 계속 저물가가 나타나는 '추세'에 주목해야 한다"며 "코로나19가 진정세로 들어선다 해도 소비 반등이 단기간에 나타나리라는 보장은 없다"고 우려했다.

디플레이션 우려에 대해 정부는 일단 선을 긋고 있다. 이례적인 저유가와 코로나 19의 여파 등을 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경기가 단번에 바닥을 치고 올라가는 'V자형 반등'은 어려울 것이라는 점은 인정하는 분위기다. 김용범 기재부 1차관도 "과거 위기와 달리 코로나19 사태는 공급·수요 측 충격, 실물 금융 타격이 동시에 발생하는 복합 위기"라며 ""우리 경제가 즉각 반등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LIST